들어가며
개발을 하며 Git을 잘 활용하려고 하다보면 이래저래 신경쓸게 많다. 그 중에서도 특히 커밋 메시지 규칙과 버저닝 규칙은 초반부터 잘 잡아놓으면 좋은 부분인데, 사실 규칙을 세우고 잘 지켜나가기가 쉽지 않다. 어떤 규칙을 세우고 팀원들에게 지켜달라고 해도, 실수는 늘 있기 마련이고, 중간에 이를 잡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규칙은 언제든 무너지게 된다.
이번 글에서 소개할 commitizen은 이런 규칙을 잘 잡아주고 지켜나가도록 도와주는 python 라이브러리다.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본 적이 있다면 CHANGELOG.md
나 섬세하게 버저닝이 된 태그들도 같이 보았을 것이다. 이런 것들을 모두 commitizen
으로 구현할 수 있다.
commitizen을 사용하게 되면 더 이상 git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cz c
명령어로 커밋을 찍게된다. 또한 명시적 버전 관리를 위해 직접 v0.1.0
과 같은 태그를 일일이 달아주지 않아도 된다. cz bump
명령어를 통해 규칙에 맞게 자동으로 버저닝 해준다.
이제 commitizen이 무엇인지 얼핏 알았으니, 본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커밋 메시지 규칙과 버저닝에 대해 처음 듣는다면...
커밋 메시지 규칙에 대해 구글링해보면 여러 자료가 나온다. 보통 이런 규칙은 개발 팀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명한 몇가지 규칙들도 있다. 이 글에서는 커밋 메시지 규칙으로 Conventional Commit을 사용한다. 또한 버저닝은 Semantic Versioning을 사용한다. 둘 다 오픈소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잘 모른다면 아래 내용을 먼저 읽어보자.
사전 준비
아래 내용은 파이썬으로 개발하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된다.
파이썬 개발자가 아니면 아래 내용은 스킵해도 된다.
아래 진행사항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pyenv와 poetry에 대한 내용을 먼저 알아야한다.
혹 이 둘을 잘 모른다면 이전에 썼던 글을 확인하자.
- git 설치 (나는 2.29.0 버전을 사용 중이다)
- python 3.8 (나는 3.8.7을 사용했다)
- 가상환경 (나는 poetry를 사용했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 생성 및 깃 초기화
$ mkdir commitizen-playground
$ cd commitizen-playground
$ git init
# 파이썬 3.8.7 사용
$ pyenv shell 3.8.7
# 파이썬 프로젝트 초기화
$ poetry init # 모두 기본 값으로 하되, version만 0.0.1로 입력해주자.
# 가상환경 세팅 및 접속
$ poetry env use 3.8.7
$ poetry shell
설치
파이썬으로 개발하지 않는 사람은 brew 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 brew install commitizen
나는 brew로 설치하지 않고 poetry로 특정 가상환경에 설치하였다.
# commitizen은 개발할 때만 사용되므로 개발용 패키지로 설치한다.
$ poetry add commitizen -D
# 버전 확인 (commitizen은 cz 명령어로 실행한다)
$ cz version
2.17.6
커밋 찍기
이제 commitizen으로 커밋을 찍어보자.
현재 디렉토리에 생성된 파일들을 커밋해본다. 커밋은 git commit
이 아니라 cz c
를 이용한다. (cz commit
도 된다.)
$ git add .
$ cz c
첫 화면에 커밋의 타입(fix, feat, docs 등)을 선택하라는 안내가 뜬다. 여기서 우리는 빌드와 관련된 파일들(poetry.lock
, pyproject.toml
)을 추가했으므로 build
타입을 선택한 뒤 엔터를 친다.
다음으로 변경된 파일의 스코프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만약 내가 git add pyproject.toml
과 같이 단일 파일을 깃에 추가했다면 여기서 pyproject.toml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이러면 나중에 커밋 메시지가 build(pyproject.toml): 커밋 메시지
과 같이 생성된다. 여기서는 일단 그냥 공백으로 넘어가자.
다음에 커밋 메시지를 간단히 요약한 내용을 적어달라고 한다. 커밋 메시지 제목에 들어가는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프로젝트 빌드와 관련된 파일들을 추가한다
라고 적어주자.
이후에 추가적인 몇 개의 질문들이 더 나오는데, 일단은 그냥 모두 기본 값(내용을 채우지 않고 그냥 공백)으로 입력하고 넘어간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build: 프로젝트 빌드와 관련된 파일들을 추가한다
이라는 커밋 로그가 남게된다.
이는 git lo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e-commit hook에 적용하기
위 처럼 cz c
명령어를 사용하면 모든 커밋 메시지를 Conventional Commit 규칙에 맞게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git commit
도 동작하며, 개발 팀 내 누군가는 git commit
으로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Conventional Commit 규칙이 지켜지지 않은 커밋 메시지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규칙을 지키지 않는 커밋 메시지를 통제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 pre-commit hook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pre-commit hook은 git commit
실행 시, 최종적으로 커밋 메시지를 찍기 전에 실행되는 hook으로 일반적인 git 활용 방법이다. 보통 이 hook에 린팅, 포매팅 등 여러가지 작업을 여기에 걸어두곤 한다. 파이썬에서는 pre-commit hook은 pre-commit 패키지를 통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aleseo님 블로그 - pre-commit 도구로 Git Hook 사용하기"을 참고하자.
commitizen도 이 pre-commit-hook을 지원한다. 이제 hook에 commitizen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pre-commit
패키지를 설치한다.
$ poetry add pre-commit -D
이제 .pre-commit
의 훅을 정의하는 파일인 .pre-commit-config.yaml
을 다음처럼 작성한다.
# .pre-commit-config.yaml
repos:
- repo: https://github.com/commitizen-tools/commitizen
rev: master
hooks:
- id: commitizen
stages: [commit-msg]
작성 후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위 설정 파일을 등록한다.
$ pre-commit install --hook-type commit-msg
이제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다음처럼 간단한 파일을 만든 뒤, git commit
으로 Conventional Commit 규칙을 어기는 커밋 메시지를 작성해본다.
# 간단한 파일 생성
$ touch a
# git에 추가하고 커밋을 찍음
$ git add a
$ git commit -m "Conventional Commit 규칙을 어기는 메시지"
실행 결과 위처럼 Failed
결과를 내며 제대로 커밋을 찍지 않는다. 이유는 커밋 메시지가 Conventional Commit 형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Conventional Commit 규칙을 지켜 다시 커밋을 찍어보자.
이번에는 Passed
결과를 내며 커밋이 잘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pre-commit
을 이용하면 커밋으로 찍히는 모든 메시지가 규칙을 지키는지 확인하고 통제할 수 있다.
bump 하기
bump는 지금까지 작업한 코드를 릴리즈하고, 이 릴리즈에 버전을 매기는 작업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작업을 실행한다.
- 이전 버전에서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는 커밋을 찍고, 이 커밋에 버전이 적힌 태그를 붙인다.
- 이전 버전에서 새로운 버전 사이에 생긴 커밋들을 명시한
CHANGELOG.md
를 생성한다.
사실 이렇게만 말해서는 뭐하는건지 잘 와닿지 않는데, 바로 실습을 통해 알아보자.
먼저 git log
로 현재 어떤 커밋들이 찍혀있는지 보자.
현재 어떤 태그도 달려있지 않다. 이제 여기에 버전이 달려있는 태그를 달 것이다.
pyproject.toml
를 열어 commitizen
관련 설정을 추가해주자.
# pyproject.toml
[tool.commitizen]
name = "cz_conventional_commits"
version = "0.0.1"
version_files = [
"pyproject.toml:version"
]
tag_format = "v$version"
update_changelog_on_bump = true
설정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키고 나면 이해가 갈 것이다.
이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 cz bump
Is this the first tag created?
질문에는 Y
값을 주면된다.
이렇게 실행하고 다시 git log
를 실행해보자
버전을 업데이트한다는 커밋과 이 커잇에 v0.1.0
태그가 달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ls -al
명령어를 쳐보면 CHANGELOG.md
라는 파일이 생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CHANGELOG.md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처럼 생겼다.
cz bump
하기 전의 커밋들을 타입 별로 묶어서 보여주는 문서다. CHANHELOG
라는 말 그대로 변경(커밋)에 대한 내역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문서인 셈이다.
한 번 더 해보자. 이번에는 간단하게 b
라는 파일을 만들고 fix
타입의 커밋을 찍어본다.
이번에도 cz bump
를 실행해보자.
git log
로 커밋을 확인해보면 다음처럼 v0.1.1
태그가 생긴 것을 볼 수 있다.fix
커밋을 찍었기 때문에 PATCH 버전이 올라갔다.
CHANGELOG.md
에는 다음처럼 이번 버전에 대한 내용이 추가된다.
GItHub Action으로 Bump 자동화 하기
위의 경우 cz bump
를 작업을 완료한 사람이 직접 실행해야 한다. 번거롭기도 하고, 누구나 쉽게 버전을 올려버릴 수 있으므로 협업할 때는 다소 위험하기도 하다.
이번에는 GitHub Aciton으로 이 bump
작업을 자동화 해보자.
구체적으론 다음 작업을 한다.
master
브랜치에push
될 때에만bump
가 작동한다.- GitHub Release 에 자동으로 버전을 등록하고,
CHANGELOG.md
내용을 릴리즈 내용에 담는다.
이제 실습해보자. 먼저 개인용 Access Token을 만든다. 이미 있는 사람은 만들어둔거 쓰면 된다.
Access Token은 Github에 로그인 후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에서 만들 수 있다.
나는 GitHub Actions
라는 이름을 주었고, scopes는 workflow
를 하나 선택했다.
이렇게 토큰을 만든 뒤, GitHub Repo에 Secret을 추가한다.
Secret은 Repository의 Settings / Secrets 에서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GitHub Repository를 만들고 로컬에 만든 코드를 Push 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라 다루지는 않았다.
만약 따라하는 사람이 있다면, GitHub Repository를 만들고, 기존 코드와 태그를 올리는 작업을 먼저 선행하자.
나는 PERSONAL_ACCESS_TOKEN
이라는 이름으로 추가하였다.
이제 GitHub Action을 사용하는 파일을 작성하자. .github/workflows
에 dumpversion.yaml
을 다음처럼 작성한다.
# .github/workflows/dumpversion.yaml
name: Bump version
on:
push:
branches:
- master
jobs:
bump-version:
if: "!startsWith(github.event.head_commit.message, 'bump:')"
runs-on: ubuntu-latest
name: "Bump version and create changelog with commitizen"
steps:
- name: Check out
uses: actions/checkout@v2
with:
token: "${{ secrets.PERSONAL_ACCESS_TOKEN }}"
fetch-depth: 0
- name: Create bump and changelog
uses: commitizen-tools/commitizen-action@master
with:
branch: master
github_token: ${{ secrets.PERSONAL_ACCESS_TOKEN }}
changelog_increment_filename: body.md
- name: Release
uses: softprops/action-gh-release@v1
with:
body_path: "body.md"
tag_name: v${{ env.REVISION }}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커밋을 찍고 푸시하자. (마이너 버전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일부러 feat
타입의 커밋을 선택했다)
이제 GitHub Repository에서 Actions 탭에 들어가보면 다음처럼 Action 파이프라인이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
파이프라인을 클릭 후 좀만 기다리면 다음처럼 Success
표시가 뜬다.
이제 GitHub Repository에서 Code 탭에 가보면 다음처럼 GitHub Action이 생성한 커밋과 Release가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Release를 눌러보면 다음처럼 CHANGELOG.md
에 추가된 내용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리
- commitizen을 통해서 conventional commit 형태로 커밋을 운영할 수 있다.
- 또한 tag와 release도 자동화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개발 및 유지보수해야하는 프로젝트에 이런 툴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되지 않을까 싶다. 특히 프로젝트 환경 세팅할 때 한번 같이 설정해두면 이후 커밋과 버저닝에 대한 고민은 좀 덜해도 되서 매우 편리할 거 같다.
위에서 작업한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은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 라이브러리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gRPC 파이썬 앱 만들고, Kreya로 테스트 해보기 (3) | 2021.11.29 |
---|---|
Feast - Quick Review (0) | 2021.05.15 |
Prefect - Quick Review (3) | 2021.05.09 |
MLflow - MLflow Projects (2) | 2021.05.08 |
MLflow - Models (0) | 2021.05.08 |